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재래시장의 현황
MJT
2009. 3. 11. 14:16
- 재래시장의 현황
- 재래시장은 오랫동안 우리나라 소매유통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해 왔다. 그러나 생활수준의 향상과 소비자들의 욕구 및 구매행동의 변화에 따라 재래시장은 환경변화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한 채 침체를 거듭하고 있다. 재래시장의 침체는 서민과 소상인 그리고 영세민의 생계 문제와 직접 연관되면서 90년대 이후 끊임없이 정치 문제이자 사회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재래시장의 현황
재래시장은 자연발생적으로 조성된 고유의 전통시장을 뜻한다. 80년 이전에 개설된 경우가 많고 상설재래시장과 정기시장을 총칭한다. 재래시장은 근대적 유통시설을 기반으로 계획적으로 조성된 현대적 시장, 백화점, 쇼핑센터 등과는 개념과 형태면에서 확연히 구분된다.
04년 현재 전국에는 1,702개의 재래시장이 있으며, 24만개 점포에 39만명의 상인이 종사하고 있다. 80년대 이전에 개설된 시장이 전체의 85% (1,080개)를 차지하고 있고 정부에 공식적으로 등록된 시장은 1,218개로 72%를 차지하고 있다.
상설시장과 정기시장 현황 ('04.12월말 기준)
구 분
계
상설시장
정기시장
무등록시장
비 고
시장수(개)
1,702
824
394
484
평균 점포수 140개
점포수(개)
237,407
123,143
35,546
78,718
임대 58.1%
<자료: 재정경제부>
한편 재래시장은 상권별 특성에 따라 전국형 대형시장, 지역중심시장, 중소도시 지역시장, 근린생활지역 골목시장, 지방5일장, 전문시장 등으로 구분되기도 한다. 재정경제부에서 이들 각 시장 유형별 특징을 ...
출처 : Daum 신지식
글쓴이 : 아젠다넷7님 원글보기
메모 : 재래시장의 현황